안전 이별 두 번째 이야기

Table of Contents

안전 이별 에 관련된 두 번째 이야기 입니다. 이전에 첫 번째 이야기를 읽지 않으신 분이라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첫번째 이야기를 읽고 두 번째 이야기를 읽는 것이 더 많은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요 ^^

이전에 작성한 첫 번째 이야기를 읽고 두 번째 이야기를 읽어보도록 해요 ^^

그럼 첫 번째 이야기를 읽었다는 가정하에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 이야기를 들어보도록 할께요. 당신은 안전 이별 해야 합니다.


안전 이별 방법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을 모두 활용 할 것,

안전 이별 에 관하여 전에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했다면 이번엔 주변의 환경을 적극적으로 해결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 문제나 데이트 폭력, 이별 폭력이 발생했을 피해자가 가지고 있는 생각은 내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가 갈까 본인 스스로 모든 짐을 짊어지려 한다는 것이죠, 피해자는 주변의 환경을 모두 활용해야 합니다.

정의구현, 시민의 보호 실제 경찰의 의무이긴 하다..
  • 공권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

대부분의 사람들은 직접적인 폭력이 나타나기 이전까지 공권력을 활용하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는 공권력에 대한 불신 (주로 언론이나 영화에서 다나타나는 경찰의 나태한 모습으로 인한 도식)으로 이를 활용할 생각도 못하게 되는데, 데이트 폭력이나 이별 폭력의 조짐이 보일시 이를 즉각적으로 활용해서 대응하지 않는다면 폭력을 방관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그래도 사랑했던 사람인데 이렇게 까지..” 뭐 그 이후에 어떤 일을 당하든 상관이 없다면 방관해도 괜찮지만 폭력의 시작은 사소한것에 시작하여 심할경우 살해까지 당한다. 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이 아닌 상대방의 행동에 저항하기 위한 것으로 직접적인 저항이 불가능 할 때 적극적으로 공권력에 도움을 받아 본인의 안전을 도모해야 한다.

폭력은 절대 단 한번으로 끝나지 않는다.
  • 상대방을 믿지 말 것

“폭력은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 될 수 없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많은 피해자들은 처음에 상대방이 자신의 행동에 사죄할 때 용서를 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아쉽게도 용서가 아니라 그 다음의 행동을 더 허용하는 것과 같아서 데이트 폭력을 한 번이라도 시행핬다면 이는 추후에 반드시 이전보다 더 강하게 일어날 것임을 인식 해야한다. 폭력에 대한 사과로 만남이나 연락을 유지하며, 이를 통해 피해자는 불안을 해소하려 하지만 상대방을 절대 믿어서는 안된다. 폭력은 정서적인 문제를 동반하며 여자친구나 주변 사람들이 그 사람을 사랑으로 치유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주변 사람들을 더 고통스럽게 만든다.


데이트 폭력 으로 일주일에 한명씩 남자친구에게 살해 당한다.

실제로 데이트 폭력으로 사망한 피해 여성은 19년 1월 글 작성 시점 기준으로 약 500명에 달한다. 이 수치는 일주일에 한명이 ‘남자친구에게 살해’ 당한다는 의미다.. 데이트 폭력의 가해자 들은 실제, 사회적 약자가 많다고 이전에 이야기 했으며 사회적으로 인정을 많이 받는 (착한 평가)를 받기 때문에 피해자가 오히려 비난 받는 경우를 볼 수 있지만, 데이트 폭력의 피해자들도 객관적으로 볼 때 자존감이 매우 낮은 경향을 볼 수 있다. 만약 본인이 데이트 폭력이나, 안전 이별 을 고려해야 할 상황이라면 상담을 통해 이를 해결할 방안, 안전하게 이별할 수 있도록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 조금이라도 상황이 위험하거나 의심이 된다면 도움을 받자.


남자들은 왜 여자들을 두려워 하지? 남자인 친구에게 물었다. 남자들은 여자들이 자신을 비웃을까봐 걱정해, 또 그들이 자신의 세계관을 부정할까봐. 그가 대답했다.

어느 날인가 내가 가르치더 시에 관한 세미나에서 학생들에게 물어보았다. 여자들은 왜 남자들을 두려워하지? 그들에게 살해당할까봐요. 그녀들이 말했다.

– 마가렛 아트우드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acebook
Twitter
나만 아는 상담소 연애 칼럼
연애 상담 재회 상담 피해 이야기
연애 상담 피해, 재상담 이야기

연애 상담 을 받고 이벤트( 재회 컨설팅 )을 진행하거나 말도 안되는 지침에 스스로 이건 아니다 생각하고 후회하고 찾아오는 내담자를 자주 대면한다. 실제 연애 상담 받은

내사(Introjection)의 특징과 역할, 장점과 단점, 병리적인 문제에 대해 다루어본다.
내사 (Introjection): 방어기제로서의 역할과 특징

I. 내사 (Introjection)의 정의와 개요 내사(Introjection)는 원래 프로이트의 동료였던 심리학자 퍼난도즈가 도입한 개념으로, 내외적인 객체나 개념을 본인의 정체성 일부로 흡수하고 받아들이는 정신적 과정을 가리킵니다. 쉽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