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피형 남자 특징

Table of Contents

회피형 남자 특징

회피형 남자 특징 리스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나르시시스트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으로 만약 아래 특징 리스트에 모두 해당한다면 나르시시스트와 관련된 글을 참고해 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신호를 보낸다.

여자친구가 자신의 감정을 알아서 알아줄 것을 기대하고 헷갈리는 신호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한다. 이러다 보니 연인은 어떤 감정인지 도무지 추측하기 어렵다.

2. 독립성을 강조한다.

여자친구와 자신의 거리를 중요하게 여긴다. 의존은 나쁜 것이며 나약한 사람이 하는 행위로 취급하고 말하기 때문에 여자친구는 의존하면 안된다는 강박에 사로잡히게 된다.

3. 전, 현 여자친구를 평가절하 한다.

전 여자친구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 자신은 최선을 다 했지만 상대가 바람을 피웠다 말하거나 그럼에도 의존적이였다며 부정적인 평가를 한다. 이 평가절하는 현재 만나는 여자친구에게도 시행할 수 있다.

4. 심리, 물리적으로 거리를 둔다.

애정표현에 대해 거부감이 있으며 실제 애정 표현이 결여되어 있다. 여자친구의 요구조건을 들어주는 듯 하지만 결국은 자신의 개인적인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협상에 가깝다.

5. 낭만적이고 이상적인 사랑에 빠져 있다.

타인과 경계선이 없기 때문에 내가 좋아하면 상대도 좋아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여자친구가 서운함을 말하면 충격 받는다. 자신이 생각한 낭만적이고 환상(동화)속의 관계가 아니라는 것에 대한 충격 때문이다. 그래서 헤어진 뒤에는 항상 운명이 아니었다는 말로서 이별을 합리화 한다.

6. 갈등을 회피한다.

갈등이 생기는 상황에서 자리를 떠나거나 더 이상 이야기 하지 말자(다음에 하자)는 식으로 상황을 모면하려 한다. 여자친구는 다음날 혹은 시간이 지나서 이야기를 할 것이라 생각하지만 다음번 만남이나 연락에서 아무렇지 않게 이야기 하는 상대에게 허탈감을 느낀다. 갈등이 생기면 “좋은게 좋은거”, “좋은 이야기만 하자”는 식으로 부정적인 대화는 일절 하지 않으려 한다.

7. 단호한 원칙을 강조한다.

여자친구의 외모를 특정한 기준으로 강요한다. 긴 머리를 강요할 때 “당신은 긴 머리가 정말 예뻐”라는 식으로 짧은 머리는 하면 안되는 느낌을 준다. 연락을 하면 안되는 시간이 있고, 약속시간, 도덕적인 태도에 매우 예민하게 대응한다.

8. 감정표현이 없다.

사랑한다 말하지 않는다. 사랑하냐 물어보는 여자친구의 말에 “사랑하니까 연락하지”, “사랑하니까 바쁜데 시간내어 당신을 만나지” 라는 말로 왜 그런걸 물어보는지 이해가 안된다는 태도로 일관한다. 말하지 않아도 상대방이 자신의 감정을 알아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9. 미래에 대한 언급을 하기 어렵다.

미래에 진지한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기 어렵다. 그런 이야기는 나중에 되어 봐야 알 수 있다며 미리 계획하거나 말하는건 의미가 없다는 식으로 대화를 회피한다. 결혼이나 관계에 대해 말을 꺼내면 분위기를 어둡게 만들어 여자친구가 꺼낼 수 조차 없게 만든다.

그들의 연애 특징은 다음 링크의 글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회피형 남자는 독립성과 자족감(스스로 넉넉하게 여기는 느낌)을 매우 중요시 한다. 때문에 여자친구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 역시 각자의 영역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자친구 입장에서는 적절한 거리보다, 연인이므로 아주 가깝고, 남들처럼 사랑하는 마음을 주고 받는 연애를 하고 싶어 한다. 문제는 회피형 남자에게 이러한 아주 가까운 거리는 불편함과 경계심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회피형 남자가 이러한 거리감을 두고자 하는 배경에는 이별이나 여자친구가 자신의 지침을 따르지 않을 것이라는 두려움이 없는 까닭이다.

여자친구 입장에서 종종 자신의 서운한 마음을 비추며, 감정적 거리감을 가깝게 좁히고 싶어 하지만, 이 두 간극이 좁혀지지 않으니 “나 혼자 사랑하는 연애 같다.” 라며, 점차 소진되는 연애를 하게 된다.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선 이전에 작성한 글을 참고해 보자.


애착유형에 대한 주의

과거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라는 책이 유행을 이끌었던 시절이 있었다. 이 책에선 남자가 회피하는 행동(동굴속에 들어가는 행동)이 마치 당연하다는 듯 묘사 되어 있어 마치 남자의 성격이 모두 회피형 애착을 형성하고 있는 듯한 이야기를 하였지만 실제 그렇지 않은 사람이 더 많다는 것이다.

안정적인 남자는 자신이 불리하거나 듣기 싫은 말이라고 갈등에서 도망치거나 회피하지 않는다. 오히려 서운한 감정을 들어주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며 애초에 그런 감정을 들지 않게 만들어주는 것이 안정형이다.

같은 불안정한 환경에서 사회 문화적 차이로 인해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는 분명하게 있다. 내가 만난 사람들이 모두 회피형 애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해서 모든 남자들이 그런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acebook
Twitter
나만 아는 상담소 연애 칼럼
불안형 이별 심리

불안형 이별 심리 – ‘통제감에 따라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이전 글에선 회피형 이별 심리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번엔 불안형 이별 심리에 대해 다루어 보고자 한다. 애착유형에

나르시시스트도 이별하면 후회 하나요?
나르시시스트와 이별 : 그들도 후회하는가?

우리는 모두 사랑에 빠져 그 행복을 누리지만, 때로는 이별의 아픔을 겪기도 합니다. 그런 아픔 중에는 상대방의 사랑의 방식이나 태도에 우리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게 만드는 경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