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적 사고(magical thinking) 완벽을 믿는다.

마법적 사고(magical thinking)는 나르시시스트가 갖는 전형적인 사고 패턴이다.

마법적 사고(magical thinking) “나차럼 완벽한 누군가가 반드시 있을거야!”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말에 나르시시스트들은 절대 동의하지 않는다. 왜냐면 자기 자신들이 이미 자연의 법칙을 거스른 완벽한 사람이기 때문에 자신과 같은 완벽한 사람이 또 어디엔가 있을 것이라는 마법적 사고를 갖는다. 운명을 믿는다는 것은 사실은 노력 없이 쉽게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하는 것과 같다. 수치심을 견딜 수 없는 나르시시스트는 […]

원시적 이상화 (Idealization) ’의지하고 싶은 충동’

원시적 이상화 (Idealization)

원시적 이상화 (Idealization)는 일차적 방어기제에 해당한다. 일차적 방어기제 혹은 원시적 방어기제는 정신병리의 유무와 관계 없이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세상에 대한 지각이 덜 발달한 유아시절 좋은 사람, 나쁜 사람으로서 구분되는 흑백논리와 같은 형태로 단순한 형태다. 정신병리적 입장에서 성숙한 방어기제를 사용할 기술이나 발달, 정서상의 문제로 인해 습관적으로 원시적 방어기제만 사용할 경우 원시적 방어의 문제로 […]

억압(Repression) 상위 방어기제의 기본

억압(Repression)은 이차방어기제, 상위 방어기제의 모든 정동으로서 히스테리적 성격의 표지이다.

억압(Repression)은 이차적 방어기제로서 자신이 수용하기 어려운 원초적인 욕구, 불쾌한 감정과 경험을 의식에 나타나지 않도록 무의식에 누르는 심리적 행동을 의미한다. 의식을 무의식으로 전환시키는 가장 기본적이며 일반적인 방어기제다. “어… 너 이름이 뭐더라?” 평소 알던 사람이나 소개를 해줘야 할 사람인데 갑자기 이름이 생각나지 않는 것, 무의식적으로 부정적 감정을 가지고 있는 증거가 명확할 때 이름을 잠깐 잊어버리는 상황, 외상을 […]

반동형성 (Reaction formation) ‘미운 놈 떡 하나 더준다.’

반동형성 (Reaction formation)은 자신의 감정의 반대되는 행동의 방어기제다.

반동형성 (Reaction formation)은 자신이 수용하기 어려운 감정과 심리를 그에 반대되는 행동을 함으로서 직면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불안이나 걱정을 회피하는 방어기제다. 증오를 사랑으로, 두려움을 존경으로, 동경을 경멸로 전환하는 것으로 발달적으로 볼 때 3~4세에서 관찰된다. 생애초기부터 나타나는 방어기제가 아님으로 이차적 방어기제에 해당한다. 주로 부정적인 감정이 긍정적으로 전환되지만 반대로 긍정적인 감정이 부정적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둘 모두 반동형성 […]

원시적 철수 (Withdrawal)

원시적 철수 (Withdrawal)는 게임 중독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원시적 철수 (Withdrawal)는 일차적 방어기제에 해당하는 종류로 현실에서 받는 고통을 줄이고자 공상 혹은 다른 세계로 도망치듯 대체하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주로 약물이나 게임 중독이 이러한 특징에서 발생할 수 있다. 아주 어린 아이가 스트레스 상황에 잠들어 버리는 행동으로 철수하기 때문에 이러한 심리적 철수는 자동적으로 나타나는 자기보호적 반응에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원시적 철수 (Withdrawal)의 특징과 형태 의식 […]

방어적 귀인(Deffensive Attribution) – ‘피해자와 거리두기’

방어적 귀인(Deffensive Attribution)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편향적 사고를 가지고 상황을 해석하는 것이다. 타인의 행동에서 원인을 찾으며 자신은 그러한 환경에 있지 않고, 그러한 행동을 하지 않으면 피해자와 같은 사고를 당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서 비롯된다. 특히나 성폭력, 데이트 폭력의 사례를 볼 때 이러한 편향적 사고가 나타나게 되는데 피해자와 자신이 얼마나 다른지 비교하며 자신은 안전하다 느끼기 […]

투사 [ Projection ] – "남자들이 널 보며 야한 생각을 해"

투사 [ Projection ]는 내부에 있는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다른 사람에게로 떠넘기는 것으로 내부에 있는 것을 외부에 있다 착각하는 과정이다.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타인의 공감에 대한 토대가 됨으로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투사 [ Projection ]하는 것이다. 하지만 미숙할 경우 연인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투사 [ Projection ]의 역할 투사 [ Projection […]

주지화 [ intellectualization ] 연애를 공부하다.

주지화 [ intellectualization ]는 이차적 방어기제에 해당한다. 연애가 시작되기 이전인 짝사랑이나 썸의 관계 때와 연애가 끝나는 이별 후 가장 많이 나타나는 방어기제이다. 연애를 시작하기 이전엔 상대방에 관련하여 분석하고 고백에 대한 실패를 최소화 하기 위함으로 발생한다면 이별 이후엔 이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별을 막으려 하는 행동을 대표적으로 볼 수 있다. 우리가 이별 이후 계속 연애와 관련된 […]

방어기제 [ Defense Mechanism ]는 무엇인가?

방어기제 [ Defense Mechanism ]는 정신분석학자인 프로이트[Freud]에 의해 정립된 이론이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을 대중에게 쉽게 접하기 위하여 교육을 위하여 자주 비유를 통하여 설명하였고 군사적인 은유를 들어 많은 설명을 하였다. 이는 1차, 2차 세계대전을 겪은 프로이트가 대중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었다고 볼 수 있다. 방어기제 – Defense Mechanism 는? 위협이 발생하였을 때 자기 자신을 보호하면서 발생하는 […]

커플 상담 – 싸우면 잠수타는 남자친구 회피형 인가요?

커플 상담 을 진행하다 보면 주로 남자 친구가 싸움을 하면 잠수를 타는 행동을 한다며 회피형이 아니냐는 질문을 많이 받게 됩니다. 하지만 아닌 경우가 많은데 진짜 회피형의 남자를 만나게 될 경우 커플 상담 을 받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남자 친구가 회피형인 모습이라 생각하고 상담을 신청하는 이유는 뭘까요?  각자 다른 방어기제의 이해 부족 사람은 스트레스가 발생하였을 때 자신만의 방법으로 해소하게 됩니다.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