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플리저(People pleaser): 타인의 기대에 자신을 버리다.

피플 플리저(People pleaser)의 심리학 특징과 원인에 대해

피플 플리저(People pleaser)란 무엇인가? 피플 플리저(People pleaser)라는 단어는 마치 좋은 의미의 단어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나를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이 누구에게나 좋아보일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 용어는 심리학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피플 플리저란 다른 사람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행동과 의견을 억제하거나 바꾸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코디펜던트(codependent), 에코이스트(Ecoist)와 동일한 맥락의 성격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에코이스트(Echoist): 타인의 반영 속에서 자신을 찾다

에코이스트(Echoist)의 특징과 원인에 대해서 이야기 합니다.

1. 에코이스트(Echoist)란 무엇인가? 에코이스트(Echoist)라는 용어는 심리학에서 나르시시즘(Narcissism)의 반대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이 용어는 그리스 신화에서 나르시스스가 자신의 모습에 사로잡혀 반해 버린 에코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에코는 나르시스스를 사랑했지만 그의 이기심 때문에 그를 얻지 못했고, 결국 자신의 목소리만을 되풀이하는 괴로운 운명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에코이스트는 자신의 의견, 감정, 욕구를 제쳐두고 다른 사람들의 기대와 요구에 응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

“사랑의 노예에서 자유를 찾아서: 코디펜던트(Co-dependency) 이해하기”

코디펜던트(Co-dependency)의 특징, 원인, 해결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1. 코디펜던트란?(Co-dependency: An Introduction) 코디펜던트(Co-dependency)는 본래 알코올 중독자의 가족이나 친지에 대한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다른 사람이나 상황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개인의 행동 패턴을 일반적으로 설명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행동은 종종 개인이 다른 사람의 필요나 문제에 지나치게 몰두하게 되면서, 자신의 필요나 감정을 무시하거나 부정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는 아직도 공식적인 진단 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심리학자들과 […]

공의존(Codependency) “다 너를 위해서야”

공의존(Codependency) 상대를 통해 나를 채우다.

공의존(Codependency)은 아주 밀접한 관계에서 일어나는 형태로 주로 부모와 자식 간에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어 나타난다. 부모는 자녀에게 “너를 위해서”, “너 잘 되라고” 하는 말들로서 부모의 기대 혹은 욕망을 자녀에게 투영할 때 발생한다. 연인 관계에선 데이트 폭력 가해자, 정서 학대자, 가스라이팅을 하는 사람들에게 사랑을 얻기 위해 자신의 욕구를 억누르고 상대의 욕구에 맞춰 자신을 바꿔가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부모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