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플라토닉 사랑 , 당신은 가능한가요?

Table of Contents

플라토닉 사랑 , 즉 신에게 헌정하는 사랑을 뜻하는 어원으로 그리스 철학자인 플라톤[Plato]에 의하여 정립된 단어이다. 현재 플라토닉에 대한 단어는 성관계가 없는 정신적 교감을 지지하는 연애를 뜻한다. 간혹 플라토닉 사랑을 무성욕과 동일시 하는 경향이 있지만 무성욕은 성적인 충동이 일절 없는 것이지만 플라토닉 사랑은 성적인 충동이 있으면서도 이를 절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때에 따라선 부모와 자녀의 사랑을 표현하기도 한다.


당신은 플라토닉 사랑 이 가능한가?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 있는 사랑이 플라토닉 적이라며 이상을 추구하지만..

플라톤의 플라토닉 사랑

플라톤[Plato]이 사랑을 정의할 때 사랑은 타인이 아닌 자신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이를 경험하는 동기로 정의 하였다. 이를 이해하려면 플라톤의 철학 개념 중 하나인 이원론에서 한 개인이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육체적 사랑과 영적인 사랑 둘을 따로 나눠 봐야 한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플라톤은 육체적 사랑과 영적인 사랑을 완전히 독립시켰다.


# 성 관계가 없는 사랑?

간혹 플라토닉 사랑이라 하면 성 관계가 없는 사랑을 플라토닉 사랑이라 생각하지만 안정적인 사랑을 이야기 하는 것이지 금욕적인 사랑을 뜻하지 않는다. 때론 혼절 순결 주의자들이 자신들의 순결을 지키기 위해 플라토닉한 사랑을 바라곤 하지만 파트너가 금욕을 견딜 수 없다 하면 이는 플라토닉 사랑 이라 말할 수 없다.

플라토닉 사랑 = 성관계가 없는 사랑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으며 너무 과도한 이상관이 휩쌓인 공상가들의 이야기라 생각할 지 모른다.

# 플라토닉 사랑은 낭만이 없다?

간혹 플라토닉 사랑 을 낭만이 없는 사랑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플라톤은 아룸다움을 만나게 되었을 때 사랑을 경험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사랑의 정의는 아름다움을 발견하도록 우리를 채찍질 한다. 플라톤의 사랑의 단계는 4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육체적 아름다움
  • 영적인 아름다움
  • 지식의 아름다움
  • 아름다움의 그 자체

플라톤은 사랑을 점차적으로 발전하는 방향으로 표현했으나 플라토닉 사랑 표현이 처음 사용되던 시절은 가톨릭이 유럽을 지배하던 시기로 섹스를 금욕시 여기는 종교적 관점으로 해석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플라토닉 사랑은 완벽한 사랑으로 분류하는 것이 옳으며 이는 플라톤 또한 순수한 사랑은 얻을 수 없다고 말하였다.

플라토닉 사랑을 성관계가 없는 사랑으로 해석하는 이상적인 사랑인 이유는 친구에 대한 사랑이다. 그렇기 때문에 동성애와 관련하여 많은 오해가 있는지 모른다. 하지만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 중 하나는 의존이며 이 의존 없이 인간이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이는 동성애적 시각으로만 해석할 순 없을 것이다.


플라토닉 사랑 자체가 동성애로 오해받을 수 있는 것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생존의 욕구 중 하나인 애착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플라톤이 말하는 사랑의 정의

플라톤이 말한 플라토닉 사랑 은 정의와 선함,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이다. 평소 악한 사람도 사랑 앞에선 선한 사람이 되며 정의감을 보인다. 이는 진정한 사랑을 나타낼 수 있을 때 발현되는 것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랑이 어떠한 사랑인지 스스로 알게 해주는 철학적 계기가 된다. 만약 내가 하는 사랑이 플라토닉 사랑이 아니라면 이러한 이상적인 관계가 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acebook
Twitter
나만 아는 상담소 연애 칼럼
나르시시스트 부모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아이를 이용하다.
나르시시스트 부모

나르시시스트 부모, 그들이 아이를 대하는 태도를 보면 아이의 의견이나 생각에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의식적’으로 생각한다. 아이가 가진 독립성, 개별성을 인정하지 않고 의지와 인성을 억압하기 때문에

현재의 나는 과거의 내가 만든 나

어떠한 논리적인 이유와 이론을 가지고 당신의 애착과 사랑에 대해 설명을 한다한들 만족하지 못할 것이다. 한 개인의 삶과 환경이 다르듯 나타나는 문제 또한 다르고 문제가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