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적 철수 (Withdrawal)

Table of Contents

원시적 철수 (Withdrawal)는 일차적 방어기제에 해당하는 종류로 현실에서 받는 고통을 줄이고자 공상 혹은 다른 세계로 도망치듯 대체하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주로 약물이나 게임 중독이 이러한 특징에서 발생할 수 있다.

아주 어린 아이가 스트레스 상황에 잠들어 버리는 행동으로 철수하기 때문에 이러한 심리적 철수는 자동적으로 나타나는 자기보호적 반응에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원시적 철수 (Withdrawal)의 특징과 형태

의식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수단으로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철수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사회적 상황에서 물러나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를 자신의 내적의 공상 사계로 대처하는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게임 중독 또한 철수의 현상이라 볼 수 있다.

  • 게임 중독의 경우 사회적 관계망이나 게임이 주는 보상체계, 중독자의 사회관계망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무조건 원시적 철수 (Withdrawal)라 볼 수 없어 복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기질적으로 예민한 사람들이 철수 경향을 많이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 선천적으로 감수성이 예민하거나 주 양육자가 정서적 침입이 과한 경우 철수가 방어기제로 고착된다고 보고 있다. 아이에게 관심을 과도하게 많이 주는 부모의 자녀들이 원시적 철수 (Withdrawal)를 방어기제로 자주 쓰이는 이유가 여기서 나타난다 볼 수 있다.

상황을 외면하기 위해서 스트레스 상황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방에 틀어박혀 있거나 잠을 아주 오랜시간 자는 경우가 철수의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에 취약한 사람들이 이를 습관적으로 활용한다.

철수 후 자신의 기분이 나아진 다음에 다시 천천히 방으러 나오는 형태를 보이는데 이 시기에 또 다시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면 달팽이가 껍질로 숨어버리듯 도망친다.

계속 철수를 습관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스트레스 상황이 예상만 되어도 도망치는 경향을 나타내어 일상 생활에 지장이 갈 수 있음으로 관리가 필요하다. 연관성이 있는 성격군으론 회피형 애착, 자기애성 인격장애(나르시시스트)가 있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acebook
Twitter
나만 아는 상담소 연애 칼럼
Q. 남자친구가 입버릇처럼 하는 말 ..

남자친구가 입버릇처럼 하는 말 항상 자신이 무언가를 하고 나면.. “아마… 이 대한민국에 나밖에 없을걸….?^^”이러고 말해요. 자신의 캐릭터가 대한민국에서 특이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남자친구는 왜 이런 걸까요?

연락에 집착하는 남자

연락에 집착하는 남자 친구, 어떤 사람들은 연락과 사랑의 크기가 비례한다 말하지만 연락을 할 수 없는 환경의 직장이나 그러한 성향이 아닌 사람이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