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제는 우리가 해결해야지!

Table of Contents

나르시시스트는 타인이 자신을 우월한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을 것을 두려워 한다. 무한한 성공과 권력에 대한 추구가 자신의 우월성을 유지하기 위한 심리에서 비롯된다.

이들을 만나는 연인은 참다 못해 친구들 혹은 인터넷에 자신의 연인에 대해 이야기를 하소연 하고 친구나 댓글의 조언 속에서 연인의 나르시시스트 혹은 회피형 성향을 의심하고 상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진 않을까 기대 한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연인에게 상담을 함께 받아보자 이야기 하면 이들은 “우리들의 문제는 우리가 해결해야지 다른 사람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어!” 라 말하며 거부한다.


나르시시스트가 두려워 하는 사람들

나르시시스트가 가장 두려워 하는 존재는 자신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자신을 공격할 수 있는 사람, 정신과 의사, 심리학자들이다. 자신의 내면의 열등감을 감추기 위해 수치심을 극단적으로 차단하는데 정신과 의사, 심리학자는 자신의 마음이 들킬 우려가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연인이 함께 상담을 받아 문제를 해결해 보자 말하면 우리 문제는 우리가 해결해야 한다는 논리로 거부하지만 참다 못한 연인이 혼자라도 상담을 받으러 가겠다 말하면 반드시 따라온다.

연인이 자신의 부정적인 이야기를 상담사에게 말하고 상담사가 진실을 직면시켜 자신의 사악한 행동이 드러나게 되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 하기 때문이다.

이 전부터 싸움의 원인이 항상 여자친구 탓으로 몰아간 이유도 자신은 완벽하다는 논리를 주장하기 위해서였는데 진실을 마주한다면 자신이 받는 수치심을 감당할 수 없다.

연인의 이런 성향에 대한 문제 때문에 고민이라 할 때 커플 상담이 아닌 개별적으로 상담을 오는 것이 더 좋다고 말해도 평소엔 싫다 말하는 사람이 갑자기 자신도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며 함께 가자는 연인의 말을 거절할 수 없다. 하지만 이들은 다른 목적을 숨기고 상담소를 찾아온다.


모든 갈등은 여자친구 때문이다.

나르시시스트는 자기 포장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제 3자의 증언 (연인, 배우자, 가족)이 없는 상황에선 오히려 연인이나 배우자가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인식될 수 있다. 3명의 정신과 의사나 심리상담사가 각 다른 진단을 내릴 만큼 외부로 문제를 돌리는 능력이 뛰어나다.

관계의 모든 문제는 여자친구의 예민한 성격, 독립적이지 못하고 의존적인 모습, 업무 스트레스나 학업 스트레스를 자신에게 풀려는 태도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이들의 말만 들었을 땐 여자친구의 심리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오류가 발생한다.

하지만 짧은 몇번의 이야기만 나눠도 그 심리적 문제는 나르시시스트 성향의 연인 때문에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꼭 심리상담사나 정신과 의사가 아니더라도 우리의 문제를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 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식으로 말한다. 이미 많은 경험을 한 친구나 혹은 결혼 생활을 지혜롭게 잘 이끌어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 조차도꺼려한다.

이는 상대를 조종하기 위해 시행하는 악의적 형태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드러날 것을 염려하기 때문이다. 자기포장이 뛰어난 이들은 주변 사람들에게 좋은 평가를 유지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멀리서 보면 안보이고 가까이서 볼때만 비극이다.

이 행동은 어릴 때 다른 아이를 괴롭히고 공격한 아이가 ‘선생님에게 이르는 행동은 나쁜 행동’ 이라며 자신의 사악한 행동을 권위자(타인)에게 감추려는 행동과 동일한 맥락에 있다.

나르시시스트와 연애하는 커플은 겉으로 볼 때 행복해 보이고 주변 사람들은 포장된 그 사람의 모습만 보다보니 연인이나 배우자가 행복할 것이라 착각한다. 문제를 말하지 않는 아이들이 어울리고 있는 모습을 보면 아주 자세하게 들여다 보고 관찰하지 않으면 그저 재미있게 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커플로 방문하는 나르시시스트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 된다. 하나는 연인이 자신의 부정적인 이야기를 꺼내지 못하도록 상담사에게 여자친구의 문제를 말을 여자친구가 발언할 기회를 주지 않는 목적으로 쉴 틈 없이 쏟아 붓는 경우와 자신의 열등감이 드러날 것을 염려하여 입을 꾹 다물고 아무말도 하지 않는 형태로 나뉜다.

전자의 경우 자신의 나쁜 행동을 알고 있다는 것으로 사악한 반응이며 침묵은 여자친구에 의해 억지로 끌려왔을 때, 본인이 생각하기엔 관계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공감결여가 심한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반응이다.


문제라 생각하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것은 절대 비겁하거나 나약한 행동이 아니다. 자신의 상황을 다른 사람에게 알려야 내가 어떤 위치에서 어떤 대우를 받고 있는지 직면할 수 있는 시야를 가질 수 있다.

약간의 위협적인 태도와 불안감을 부여할 때, 아주 사소한 잘못이나 서운한 말 한마디에 비난을 퍼붓는 나르시시스트에게 시달린 사람은 자기 스스로 판단해 상황을 빠져나오는 것은 불가능 하기 때문에 반드시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acebook
Twitter
나만 아는 상담소 연애 칼럼
이별상담 받고 나면 마음이 좋아 지나요?

먼저 이별상담을 받기 이전 상담의 목적을 봐야할 것 같아요, 만약 내가 상담을 통해서 상대방과 재회를 하고 싶은 마음인지, 아니면 그 사람을 잊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