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당 해야만 연애를 잘 할 수 있을까?

Table of Contents

밀당 해야 흥미를 느끼고 연애를 잘한다?

항상 연애가 퍼주다 일방적으로 차인다는 그녀는 상대방에게 너무 잘 해주니 흥미를 잃어 차인다고 생각한다. 잘하는데 누가 싫어하겠냐고, 문제는 자신이 밀당을 못해서 그런거라며 자책한다.

사건이 발생하고 자기 자신에게 탓을 돌리는 자기비난의 행동은 자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선 어쩌면 당연한 행동이다. 문제가 외부에 있다면 내가 어쩔 수 없기 때문에 좌절하지만 내부 (나)에게 있다면 통제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물론 이러한 방어기제는 습관적으로 나타나면 우울증에 빠지게 된다.

그녀가 스스로 생각한 것처럼 정말로 그 남자는 여자가 일방적으로 잘 해주고 밀당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별했을까? 그리고 그녀는 항상 왜 이런 연애를 반복했을까? 대부분 이럴 땐 너무 감정을 표현했고 상대방에게 퍼줘서 그런거라 말하며 밀당을 해야한다 말하는데.. 진짜 그녀가 항상 이별 통보를 받은 이유가 단지 밀당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단정 하기엔 모순이 많다.


밀당 , 좋아도 싫은 척

밀당 , 좋아도 싫은척 하고 마음이 있어도 없는 척하며, 연락을 하고 싶어도 참는 행동이나 다름이 없는 것을 우린 참 거창하게도 말한다.

먼저 밀당을 해야한다고 이야기 한다면 밀당이 어떤 것인지 알아야 하는데, 이를 쉽게 말하면 많이 상대방이 나를 쉽게 볼 수 없도록 상대에게 감정 표현을 최소화 하고 상대의 연락이나 만남의 요청에 그러고 싶음에도 불과하고 참으라는 말과 같다.

연락을 최소화 하여 상대방이 연락을 더 하도록 만들고 감정 표현을 참음으로서 상대방이 더 하도록 만든다는 것인데.. 이 말이 통용 되려면 적어도 상대방이 나를 좋아한다는 기본적인 전제가 있어야 가능하다.

만약 어느 누군가가 나를 좋아한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나는 그 사람을 별로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다. 이럴 때 상대방이 관심을 이끌겠다며 좋아하는 감정을 감추고, 연락에 텀을 둔다고 가정하면 내가 영향이나 받느냐 하는 것이다. 밀당은 내가 상대방을 좋아하는 만큼 상대 또한 나에게 호감을 느끼고 있어야 한다.

연락을 안하니 연락이 오다.

평소에 연락을 잘 안하기에 내가 먼저 매번 연락을 하다가 하루 날을 잡고 연락을 하지 않으니 (혹은 오전에 일이 바쁜 나머지 연락을 할 수 없었거나) 상대방이 연락이 왔다며 이게 밀당이냐고 물어본다. 우리가 연애를 하고 상대의 마음을 얻으려 할 땐 바보가 되니 주의하라고 말하는데 이 말의 의미가 여기서 들어난다.

매번 연락이 오던 사람이 오전 내내 연락이 안되면 걱정되어 연락하는게 당연하지 않은가? 오히려 그럼에도 불과하고 연락이 오지 않는다면 더 무서운 일이다. (나에게 조금의 관심도 없는 것이기에 어떤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밀당 해야겠다 마음 먹는 관계는 이미 끝난 관계나 다름 없음을 기억해야 한다.

“밀당 좀 해야겠어” 이 생각에 이미 관계는 끝나다.

만나고 있는 사람이든 썸을 타고 있는 관계이든 밀당이 필요하다 느껴진다면 내가 상대방에게 원하는 만큼의 호감이나 감정표현을 듣지 못한다는 느낌이다. 이럴 때 상대를 자극하겠다고 시도하는 밀당이나 질투 유발은 도리어 둘 관계의 신뢰가 무너지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럴 땐 차라리 상대에게 원하는 만큼 연락을 요청하자, 그럴 때 상대방이 상황을 이해하고 수용해 준다면 굳이 노력하지 않아도 좋아질 수 있다. 만약 상대방이 물리적인 이유로 그럴 수 없다하면 나 또한 이해의 폭이 생김으로 스트레스를 피할 수 있다.

헌데 나의 요청에도 상대의 행동이 변화가 없거나 감정표현을 해주지 않는다면 이는 밀당을(감정을 감추고 연락의 빈도를 최소화하는 행동을)한다 한들 달라지는 것은 없다. 일시적으로 상대방에게 불안 요소를 제공하고 순간 내가 원하는 행동을 이끌어 낸다 한들 이는 그 순간일 뿐 내가 원하는 편안하고 낭만적인 사랑과는 거리가 있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

  • 퇴행 (Regression): 안정과 위험의 갈림길
    퇴행 (Regression)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설명한 방어기제 입니다. 프로이트 우리의 정신에 대해 이해하려고 할 때, 종종 우리의 무의식에서 오는 강력한 충돌을 설명하는데 ‘방어기제’라는 개념을 사용했습니다. […]
  • 억압(Repression) : 우리의 마음을 보호하는 방패
    억압 (Repression)은 우리의 의식에서 불편하거나 부정적인 기억, 생각, 감정, 욕망을 자동적으로 배제하는 방어기제를 가리킵니다. 억압은 주로 트라우마를 겪은 이후 나타나며, 본인이 접한 상황이나 사건에 대한 […]
  • 부인(Denial): 스트레스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다.
    부인(Denial)은 우리가 흔히 경험하는 방어기제 중 하나입니다. 이 방어기제는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외부적 상황이나 심리적 고통, 인지적 모순 등을 처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분열(Dissociation) : 새로운 자아를 찾다.
    분열(Dissociation)은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념으로 일차적 방어기제에 해당합니다. 특히 사람이 스트레스 상황을 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로 묘사됩니다. 분열은 일반적으로 불안이나 고통스러운 사건이나 추억으로부터의 도피를 […]
  • 원시적 철수 (Primitive Withdrawal)
    원시적 철수(Primitive Withdrawal)는 정신분석학에서 일차적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 중 하나로 개체가 고통스럽거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상황에서 멀어지려는 경향을 가리킵니다. 이 방어기제는 자신을 위협하는 요소로부터 신체적이나 정신적으로 거리를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acebook
Twitter
나만 아는 상담소 연애 칼럼
엄마의 질투 , 딸을 질투하는 엄마들에 대하여
엄마의 질투 – 질투 받은 딸의 삶

엄마의 질투, 엄마라는 사람이 딸에게 질투한다는 게 말이 안 된다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 딸을 질투하는 엄마들은 너무나도 많다. 나르시시즘을 가진 엄마들은 자신의 왕국(가족)에서 가장

재회 골든 타임, 정말로 존재할까?

‘재회 골든 타임, 시간이 지나면 정말 끝일까? ‘ “이 구성을 이 가격에 구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 마감임박 10분 다시는 이러한 기회를 제공받을 수 없습니다.

헤어진 남자친구 심리

헤어진 남자친구 심리 왜 궁금하세요? 헤어진 남자친구 심리 를 알아보기 이전 먼저 물어보고 싶다. 이전에 만나던 사람의 심리 상태를 왜 알고싶어 하는지, 이렇게 물어본다면 대부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