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는 사소한 오해가 생기거나 자신의 기분이 좋지 않을 때 내가 실수라도 한다면 나를 맹렬하게 비난했다. 전날 많은 비난을 받은 나는 그녀와의 관계를 정리 하겠다는 마음을 가졌지만, 어제 당장 헤어질 것처럼 이야기하는 그 사람은 온데 간데 없고 함께 찍었던 사진을 인화해 앨범을 만들어 서로 많은 추억을 만들자고 말한다.

음식을 먹을 때면 너무 많은 양을 시킨다. 물론 남기는 것은 아니지만 작은 체구의 그녀가 다 먹기엔 좀 많았고 한번 먹을 때 너무 먹는다 생각한다. 가끔은 음식을 먹다 화장실에서 구토를 하며 그러한 행동을 했다고 나에게 말한다. 나는 의사가 아니기에 뭘 어떻게 해줄 수 없는데 그저 내가 할 수 있는 이야기라곤 괜찮냐는 것 뿐.. 아무것도 해줄 수 없음에 죄책감이 들기도 한다.
어느날 그녀가 과거 사람에 이야기를 하며 나의 기분을 좋지 않게 했다. 표정이 굳은 나를 보고 자신을 떠날꺼냐며 울고 불고하는 그녀에게 그러지 않을 것이라 말했지만 아니라고 달래는 중 술을 엄청 마셨다.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위 이야기는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를 가진 여성을 만난 남성의 이야기다. 주로 경계성 성격장애는 모호한 매력을 가진 케릭터로 주변에 사람은 많지만 진정 친구다 할 수 있는 친구들이 없으며, 친한 친구라 할 수 있는 사람들의 경우 아주 어릴적 친구보다는 최근에 근접한 친구들과 유독 관계가 깊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가까운 친구들과 친하다기 보다 주변 사람들에게 과도한 기대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의식에 의해 사람들을 오래 두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진단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는 자기(Self)의 자아상이 불분명하며 충동적인 성향을 갖기 때문에 폭음이나 폭식과 같은 특징, 과소비와 같은 충동적인 행동을 갖는다. 이러한 행동들은 다른 성격 유형과 다르게 일관적이지 않고 날에 따라 너무 다른 패턴을 보인다. 안정적일 땐 한 없이 안정적이다 갑작스럽게 돌변한다.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진단표는 아래와 같다 DSM-5 기준근거](https://i2.wp.com/naaso.net/wp-content/uploads/2019/08/glenn-carstens-peters-RLw-UC03Gwc-unsplash.jpg?fit=1024%2C681&ssl=1)
진단 및 검사
진단은 미국 정신의학회(APA)[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 평가 기준인 DSM-5의 기준에 따른다.
- 버림 받지 않기 위해 과도하게 노력한다.
- 원시적 이상화와 원시적 평가절하 사이를 극단적으로 나타낸다.
- 주체성을 느끼지 못하며 자기(Self)의 느낌이 불안정하다.
- 자기(Self)를 손상할 분명한 행동이 두가지 이상 나타나게 되었을 대 충동성 행동을 나타낸다. (과소비, 물건을 아끼지 않음, 좀도둑질, 난폭운전, 폭식)※ 5번에 나타나는 자해행동이나 자살은 포함하지 않는다.
- 반복적인 자살에 대한 언급 및 행동, 위협, 자해
- 현저한 기분에 의한 반응으로 정동의 불안정한 모습 (과민한 불안과 삽화적 불안)
- 만성적인 공허함
- 화를 조절하지 못하고 상황에 관계 없이 부적절하게 화를 냄(신체적 싸움을 자주 시도하고 늘 화를 내거나 울화통을 터트림)
- 스트레스와 연결되어 있는 피해적 사고와 해리[Dissociation]증상

치료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는 심리치료와 약물치료 모두 병행해야 한다. 하지만 치료 경과가 좋은 반응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많아(치료를 꾸준하게 받는다면) 치료 효과의 기대치는 높다.
원인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는 과거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 이야기 하였고 주변에서 경계성 성격장애와 관련된 행동을 보일 때 히스테리 하다는 표현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최근 역학 조사에 따르면 유별률에 관련하여 남녀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치료는 여성이 주로 받으러 오기 때문에 그렇다고 볼 수 있다.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환자의 약 75% 이상이 성적인 학대와 신체적인 학대를 경험한 사례가 보고 되는데, 이는 연애를 하고 있는 중이라면 연인에게 자신의 학대 사실을 아주 세밀하고 낮낮히 고하는 경향을 볼 수 있기에 판단하기 어렵지 않다.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는 어릴때 성적/신체적 학대를 경험하였다는 보고가 75%를 넘게 된다.](https://i0.wp.com/naaso.net/wp-content/uploads/2019/08/anton-malanin-yuGuLtKwTY4-unsplash.jpg?fit=1024%2C576&ssl=1)
&개인적으로는 남성의 경우 치료를 받으려 하지 않고 때에 따라선 자기애성 성격장애(나르시시즘)나 애착유형 중 회피형 애착을 갖는 사람들과 중첩되는 진단이 많기 때문에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향이라고 볼 수 있다. (일전에 소개한 경계성 성격장애 영화 아비정전 <阿飛正傳>(1990)의 이야기를 남성으로 선택한 이유이기도 하다.)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의 연애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는 자기 자신에대한 정체성(Identity)와 자기(Self)의 경계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스스로의 정체성과 자신을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정감을 얻지 못하고 그 안정감을 타인에게 찾으려는 행동을 하게 된다.
위 진단에 있어서 사회적인 행동에서 충동을 덧붙이자면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를 가진 경우 과소비와 충동적인 섹스를 나타내는 경향을 쉽게 볼 수 있다. 주변의 사소한 변화에 극단적인 변화를 느끼기 때문에 파트너가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도록 만들고 눈치보게 만든다.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는 치료 예후가 좋기 때문에 충분히 변화할 수 있다.](https://i2.wp.com/naaso.net/wp-content/uploads/2019/08/harli-marten-M9jrKDXOQoU-unsplash.jpg?fit=1024%2C683&ssl=1)
경계성 성격장애는 치료 예후가 좋고, 치료가 되었을 때 일반적인 사람들과 차이가 없을 만큼 좋아지는 경향이 있음으로 치료적인 방향과 파트너의 안정적인 기지가 충분히 긍정적인 사랑으로 바꿀 수 있다. 하지만 그를 견디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포기하게 되고 그러한 반복들이 증상을 더 심하게 만들기 때문에 파트너의 인내심이 요구된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