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노출 효과 (Mere exposure effect)는 친숙성의 원리라고도 표현하는 이론은 사회 심리학자인 로버트 자이언스에 의해 정립된 이론이다. 관심이 없거나 혹은 중립적인 감정 반대로 혐오적인 반응을 가지고 있더라도 자주 접하고 계속 만나다 보면 호감도가 상승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일반 노출 효과로 주로 마케팅에 활용되는 이론이다. (대부분의 사회 심리학은 행동 심리학과 마찬가지로 마케팅에 활용된다.)
사람들은 처음 만나는 사람, 낯선 사람을 대할 때 공격적이며 냉담한 태도를 보인다. (경계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사람을 자주 접하면 친숙함을 느끼게 되고 경계심을 제거하며 자주 노출되는 상태에서 인간적인 측면을 알게 되었을 때 그 사람에게 호의를 갖는다는 것에서 착한 된 이론이다. 가끔 이 이론을 토대로 자주 비춰지면 사랑을 이룰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노출의 빈도와 사랑의 감정은 전혀 다르게 나타난다. 사랑을 느낄 때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는지 살펴보자
처음 만나는 사람, 낯선 사람을 대할 때 공격적이고 냉담하다.

우리가 어떤 사람에게 사랑을 느낄 때 그 사람은 낯선 사람이다. 근데 경계심이 아닌 호감을 느낀다. 집단에서 만난 사람이라 할 지라도 마음에 드는 사람은 그 사람만 보이기 마련인데 이는 외적인 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단계이다. 대화를 할 수 있는 단계라 할지라도 호감을 갖는 대상의 모든 말은 다 긍정적이고 자신의 상황에 맞추기 때문에 오히려 사랑의 감정은 시작 때부터 호감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이 노출 효과와 사랑을 접목할 수 없다.
자주 만났을 때 친숙함을 느끼고 경계심을 풀다.

처음 만날 때 경계심을 갖는 대상에게 우리가 사랑을 느낄 수 있을까? 처음 경계심을 가졌다는 것은 그 사람의 ‘안전한’ 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그렇기 때문에 추후 자주 만남을 갖으며 ‘안전함’을 느끼고 경계심을 푼다 하더라도 사랑이라는 감정과는 별게라는 것이다. 처음 만날 때 안전한 사람인지 확인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서 사랑이라는 감정이 꽃 피울 수 없다.
우리가 단순 노출 효과 (Mere exposure effect)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친밀감’일 뿐 ‘사랑’의 감정과는 거리가 있음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연인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관계는 처음 만날 때 이미 경계심을 갖을 필요가 없는 대상들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같은 학년, 또래, 공통 관심사) 부정적인 모습으로 다른 사람에게 인식되었다면 단순 노출 효과 (Mere exposure effect)를 통해 부정적인 감정을 중립적인 감정으로 돌려두는 것이 최대 방법이다.
단순 노출 효과 (Mere exposure effect) 적용 조건

그나마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중립적인 감정이 호감으로 발전할 수 있을지 몰라도 상대가 나를 거부하거나 부정적 감정이 있는 상황에서 혹은 중립적이지 조차 않은 감정이라면 단순 노출 효과 (Mere exposure effect)는 역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대부분 단순 노출 효과 (Mere exposure effect)는 마케팅에 활용되고 자주 접하고 자주 마주할수록 그 물건이나 대상에게 친숙함을 느끼기 때문에 주로 브랜드 노출 광고에 활용한다. 하지만 이를 이용해 과도하게 노출할 경우 오히려 반감을 갖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은 물론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대상과 전환점이 없는 상태로 단순하게 자주 만나게 될 경우 오히려 거부감이 나타나 상대가 도망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이론을 믿고 그대로 행동했다가 오해를 만들거나 부정적인 영향으로 관계가 단절될 수 있다.
이 논리라면 자주 보는 커플은 점점 더 친숙해지고 사랑의 감정이 커져야 하지만 너무 자주 보면 오히려 개인 시간의 부재로 인해 권태기가 나타나거나 상대를 피하려는 행동을 나타낸다. 대부분 사회 심리학 이론이나 행동 심리학(행동 경제학) 이론으로 사랑을 해석하면 너무 잘해주고 좋아한다고 표현을 많이 해서 가치가 떨어지고 매력이 없어서(비싸게 굴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한 것 밖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비싸게 굴어서 사랑에 성공하면 감정을 억눌러야 한다는 것인데 궁극적으로 마음에 안정감을 얻고 싶어 사랑을 하는 사람들에게 긴장을 해야 한다 말하는 것은 사랑에 대한 본질적인 의미를 잘못 해석하고 있는 것과 같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