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엄마 5가지 특징

Table of Contents

나쁜 엄마 특징, 부모가 된다는 것은 사랑, 인내, 희생, 그리고 노력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모든 엄마들이 평등한 것은 아니며, 어떤 엄마들은 그들의 아이들의 신체적, 정서적, 그리고 심리적인 행복에 해로운 특성들을 나타낸다.

자녀를 힘들게 하는 나쁜 엄마들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나의 감정이 일반적이지 않다면 이러한 엄마 아래서 양육되어 왔고 아직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 보자 아무리 노력해도 해결되지 않는 것은 당신의 감정을 갉아먹는 나쁜 엄마들을 계속 곁에 남겨두기 때문이다.


아이를 병들게 하는 나쁜 엄마 특징 5가지

  • 방치 및 방임

방치 및 방임은 아동학대의 가장 심각한 형태 중 하나이고, 아이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방치하는 엄마는 아이에게 음식, 옷, 공간, 의료, 정서적 지원과 같은 기본적인 것을 제공하지 못한다.

그녀는 또한 아이들을 위험한 상황에 놓거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학대에 노출시키면서(나쁜 사람들을 초대하거나 신체적, 성적 학대를 일삼는 친척, 친구들을 지속적으로 초대), 아이를 보호하지 않는다.

자신의 기분이 내키지 않을 때 아이에게 애정을 보여주거나 위로하는 것을 하지 않음으로 아이의 정서적으로 결핍시킨다.

  • 감정적 학대

정서적 학대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아동 학대이다. 감정적으로 아이를 학대하는 엄마는 아이를 비하하거나 모욕하거나 위협하거나 끊임없이 비난하는 등의 행동을 의미한다. 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지지와 위로가 아닌 해도 안된다는 식으로 자녀의 능력을 폄하한다.

이러한 유형의 행동은 어린이들에게 낮은 자존감, 불안, 우울증을 초래하며 이후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을 손상시켜 다른 관계에서 문제서도 문제가 이어질 수 있다.

  • 신체적 학대

신체적 학대는 아이를 아프거나 다치게 하는 아동학대의 한 형태이다. 신체적 학대는 신체적 피해뿐만 아니라 정서적, 심리적 트라우마를 유발한다. 신체적으로 학대받은 아이들은 불안,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으며, 신체적 학대는 또한 발달 지연과 행동 문제를 동반한다.

  • 비 일관성

일관성이 없는 엄마들은 자신의 기분에 따라 아이를 대하는 태도가 다르기 때문에 아이들은 부모의 기분을 파악하기 위해 모든 에너지를 쏟아붓는다. 자신과 타인에 대한 경계를 만들 수 없고 엄마의 기분이 곧 나의 기분이라는 생각에 공감을 발달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게 된다.

일관적이지 못하고 자신의 감정에 따라 기분을 달리하는 행동은 아이들에게 눈치를 보게 만들어 혼란, 불안, 행동 문제로 이어진다. 아이들은 안전하고 안정감을 느끼기 위해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이 필요하다. 엄마도 사람이기에 조금은 불안정할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일관성이다.

  • 공감 능력 부족

나르시시스트 기질을 가진 엄마는 공감 능력이 없다. 아이의 정서적 욕구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엄마는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아이가 필요한 것을 무시하거나, 그들의 감정을 경시하고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평가한다. 아이는 추후 거부감, 불안감, 낮은 자존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엄마도 사람이기에 완벽할 수 없다. 하지만 엄마가 아이에게 방임 및 방치,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비 일관성, 공감 능력 부족과 같은 자녀가 불행해질 수밖에 없는 분명한 행동을 하면서도 자신들의 행동을 전혀 자각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다.


자녀들은 자신의 감정을 감추기 위해 나타나는 죄책감으로 인해 우울해지고 자신이 받지 못한 사랑을 부모와 비슷한 유형의 사람을 만나 사랑을 받으며 과거 상처를 치유하려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게 된다.

만약 당신이 엄마이며 자녀에게 나쁜 행동을 하는 듯한 느낌을 받으면 내가 과거에 나쁜 엄마에게 받은 상처를 아이에게 투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 보자, 우리의 행동엔 반드시 이유가 있다. 그 원인을 찾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acebook
Twitter
나만 아는 상담소 연애 칼럼
나만 아는 상담소 네이버 TV

기존 유튜브와 함께 네이버 TV에도 나만 아는 상담소 심리와 관련된 영화 행동심리학 자료를 함께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스스로에게 몰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기 때문에 끝없는 열등감에 사로잡혀있다.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지만 사실상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