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사 [ Projection ]는 내부에 있는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다른 사람에게로 떠넘기는 것으로 내부에 있는 것을 외부에 있다 착각하는 과정이다.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타인의 공감에 대한 토대가 됨으로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투사 [ Projection ]하는 것이다. 하지만 미숙할 경우 연인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차적 방어기제인 투사 [ Projection ] 가 시행하는 역할을 확인해 보자](https://i0.wp.com/naaso.net/wp-content/uploads/2019/12/sunny-ng-5VjcqRxshtU-unsplash-scaled.jpg?fit=1024%2C688&ssl=1)
투사 [ Projection ]의 역할
투사 [ Projection ]는 자신의 용납할 수 없는 생각이나 상상을 타인에게 떠넘김으로 자신은 심리적인 안정을 찾도록 만든다. 자신의 속에 있는 것을 외부에서 오는 것으로 오해하는 과정이다. 이로 인해 강박적인 사고를 갖게 된다. 우리는 타인의 마음 속에 들어가거나 생각을 읽을 수 없음으로 자신의 경험과 주관적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투사를 하게되고 이를 통하여 공감을 하는 역할을 하지만 미숙할 경우 자신의 생각을 자신이 했다고 용납하기 어려울 때 타인과 세상을 외곡하여 세상을 해석하게 된다.
# 투사 [ Projection ]가 미숙할 경우
미숙한 투사 [ Projection ]는 연인관계는 물론 친구, 직장 동료와의 관계에도 안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연인간에 발생하는 행동은 주로 여자친구의 옷 차림에 대한 지적을 통해 타인이 여자친구의 옷 차림을 보고 야한 생각을 하고 있다며 옷차림을 지적하지만 우리는 타인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본인의 수치스러운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떠넘기는 것이다.
너가 짧은 치마를 입으니 저 남자가 너의 다리를 보면서 야한 상상을 하잖아!
이 말은 반대로 생각하면 내가 짧은 치마를 입은 여자를 보면 야한 생각을 한다는 의미다.
![투사 [ Projection ] 하는 남자들은 여자친구가 짧은 치마를 입거나 레깅스를 입었을 때 매우 과도하게 대응한다.](https://i0.wp.com/naaso.net/wp-content/uploads/2019/12/allef-vinicius-x9lsIUPk9GI-unsplash-scaled.jpg?fit=1024%2C549&ssl=1)
다른 사람이 너를 안좋게 볼까 걱정이야
이 말뜻은 “나는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보면 안좋게 생각해” 이다.
![투사 [ Projection ]를 미숙하게 나타낼 경우 타인의 시선을 과하게 신경쓰는데 이는 자신의 생각을 떠넘기는 행동에 기인한다.](https://i1.wp.com/naaso.net/wp-content/uploads/2019/12/adam-le-sommer-igp4EuThQgw-unsplash-scaled.jpg?fit=1024%2C683&ssl=1)
# 나만 순결하고 나만 고결해
대인관계에서는 자신이 싫어하는 친구나 직장 상사, 동료를 보며 저 사람들이 나를 싫어한다 말하지만 사실은 자신이 싫지만 싫어하는 행동이 도덕적이지 못하다 판단하기에 저 사람들이 나를 싫어한다는 투사 [ Projection ]로 도덕적 문제를 다른 사람들에게 떠넘기게 된다. 야한 생각을 하거나 불순한 생각을 했다는 것을 자신의 생각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떠넘기며 자신은 순결한 사람으로 남으려 할 때 이와 같은 생각을 한다. 불안형 애착 유형을 가지고 있을 경우 세상과 삶에 대한 이해나 해석이 외곡될 수 있기 때문에 미숙한 투사 [ Projection ]가 발생한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