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할 역전 [ Reversal ] – “너의 행복이 나의 행복”

Table of Contents

역할 역전 [ Reversal ]은 심리적인 위협을 다루고자 자신을 주체에서 객체로 전환하거나 반대로 객체에서 주체로 전환하는 것으로 타인에게 받고 싶은 욕구를 대신 함으로서 심리적 안정감을 찾으려 하는 이차적 방어기제다.


역할 역전 [ Reversal ]은 그 사람의 행복을 빌어주는 것이 아닌 주체에서 객체로 전환하는 것이다.

헌신 하는 사람들의 방어, 역할 역전 [ Reversal ]

만약 당신이 사랑을 받고 싶은 마음이나 보살핌을 받고 싶을 때 내가 만나는 파트너로 하여금 사랑을 확인 받기 위해선 많은 대가가 따르게 된다. 사랑한다 말해달라는 행동을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사랑을 확인하는 행동을 하게 되었을 때 상대방에게 거절 당할 것이라는 두려움이 생긴다면 상대가 느끼는 행복에 무의식적으로 자신과 동일시 하여 자신이 받고 싶은 사랑과 의존을 대리만족할 수 있다.


# 역할 역전 [ Reversal ]의 역할

역할 역전 [ Reversal ]은 심리적인 위협을 다루는 것을 넘어 관계에 대한 양상을 반응에서 고정하지 않고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주며 수동적인 사람을 능동적으로 전환하여 준다. 아이들이 인형을 가지고 놀 시기가 될 쯤 역할 역전[Reversal]이 실행되며 치료자의 유서 깊은 방어로 심리학자나 간호사, 보육교사, 의사와 같이 타인을 돌보는 직종의 사람들이 나타나는 방어기제다.

헌신 하는 사람들은 역할 역전 [ Reversal ]에 빠져있는 경향이 있다.

# 헌신 하다.

타인에게 과하게 헌신하는 사람들의 유형을 볼 때 역할 역전 [ Reversal ]에 빠져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자신이 받고 싶은 사랑과 호의를 상대에게 전해주며 그 만족감을 자신도 느끼는 것으로 “네가 좋으면 나도 좋다”는 말로서 표현된다. 하지만 헌신하는 사람들은 순간 심리적 안정감은 찾을 수 있어도 장기적으로 볼 때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 어렵다.


어짜면 당신은 헌신이 아닌 역할 역전 [ Reversal ]을 통해 나 자신을 사랑해달라 외치는건 아닐까 고민해봐야 한다.

나를 사랑해줘!

만약 당신이 다른 사람을 만나면서 계속 잘해주려 하거나 상대의 행복감에 만족만 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역할 역전 [ Reversal ]에 빠져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봐야 한다. 이런 경우 실제 그 사람을 열렬히 사랑한다기 보다 자신이 받고 싶은 사랑을 표현하는 것이기에 대상이 사라질 경우 자신을 잃는 듯한 느낌을 받아 이별에 대한 상실감이 다른 사람에 비해 유독 크게 다가온다.

나 자신의 행복보다 너무 타인의 행복에 치우쳐진 삶을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자, 타인의 행복이 아닌 “너에게 제공하는 특별한 모든 것을 나 또한 너에게 받고 싶어”라고 우리는 외치고 있는지도 모른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


집착하는 사람이 성욕이 높은 이유

좋은 사람으로 남고자 잘해주는 행동은 무의미 하다.

건강한 연애를 하는 사람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acebook
Twitter
나만 아는 상담소 연애 칼럼
이별 후 마음의 안정 찾기

이별 후 마음의 안정을 찾기 위한 여정 이별은 누구에게나 고통으로 다가옵니다. 의지했던 사람이 사라진 다는 것은 아무리 강인한 사람도 나약하게 만듭니다. 우리의 강인함은 나를 믿고

Q. 맞선 남 연락 문제..

Q. 질문 토요일에 맞선 보고.. 토요일에 맞선 보고 어제 하루동안 연락이 없어요. 에프터 카톡은 왔고요. 관심이 없는걸까요? 저는 여자에요, 맞선 보고 마음에 들면 대부분 바로

정신병질(Psychosis) 특징과 원인, 병리적인 문제, 일상 생활에 대한 문제를 다루어 해결 책을 제시합니다.
정신병질 (Psychosis) : 환각, 망상, 혼란스러움

정신병질 (Psychosis)이란 무엇인가? 정신병질(Psychosis)이란, 심리학 용어로, 정신 장애의 한 형태로서 개인이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에서 현실 감각을 상실하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신병질에 걸린 사람들은 일반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