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적 관중(imaginary audience) “모든 사람이 나를 보고 있어”

Table of Contents

상상적 관중(imaginary audience), 약 14세~18세 시기 청소년 중 유독 자신의 머리 스타일과 의상에 신경을 쓰는 아이들이 있다. 이러한 행동 특징을 보이는 청소년은 세상 사람들이 모두 자신만을 바라보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자신은 무대에 있고 모든 사람들은 전부 자신을 바라보는 관중이라고 생각하는 미성숙한 자아 발달에 의해 나타난다.

이들을 가만히 보고 있자면 유치하기 짝이 없다. 어른이 된 입장에서 청소년이 만들어낸 상상적 관중(imaginary audience)은 아무런 의미가 없음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모나 어른이 본인이 생각하는 것보다 주변 사람들이 너에게 관심이 없다고 말하면 반항(공격) 하거나 상처를 받기까지 한다.

자아가 발달하지 못하고 통합적 사고가 덜 발달한 아이들은 다른 사람에게 비치는 자신의 모습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즉, 자기(self)가 없어 타인을 통해 자신을 증명하려는 행동에서 비롯된다.

상상적 관중(imaginary audience)
“발달심리학자인 데이비드 엘킨트(David Elkind)에 의해 정의돤 단어로 청소년기 모든 사람들이 자신에게 관심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망상적으로 관중을 만들고 그 관중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외모 관리, 행동에 매우 몰두하는 행동으로 청소년기에 나타난 뒤 사고 발달과 자아통합을 이루며 점차 소거 된다. 타인을 의식한다는 점에서 4~6세 나타나는 자기중심적 사고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상상적 관중(imaginary audience) 정의

나르시시스트의
상상적 관중(imaginary audience)

현재 연인이 나르시시스트(자기애성 인격장애) 라면 청소년기 만들어지는 상상적 관중(imaginary audience)과 자아중심적 사고에서 이미 자신의 연인, 배우자가 해당 시기에 머물러 있음을 짐작했을 것이다.

청소년 시기 자아(ego)와 통합적 사고를 발달시키지 못한 체 성인이 된 사람은 사회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학력, 직업, 경제력, 명품, 자동차에 몰두하게 된다.

자신이 능력을 갖지 못한 경우 연인이나 배우자의 부모의 직업이나 배우자의 능력, 외모에 몰두하고 주변 친구들이나 지인들을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사람들로서 채워 넣으려 한다. 그래서 이들에겐 지나가다 한번 본 사이도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매우 친한 사람인 것처럼 이야기한다.

타인에 의해 영향을 받다 보니 이들을 응원하거나 위로하는 방법은 그 대상 자체를 칭찬하는 것이 아닌 남들보다 우월하고 더 특별하다는 비교 대상을 두고 접근해야 한다. “당신은 정말 멋지게 잘 꾸미는 사람이야” 가 아닌 “당신은 다른 사람들이 전혀 신경 쓰지 않는 부분까지 세심하게 신경 쓰는 멋진 사람이야”로 가야 한다.

나르시시스트에게 자신이 완벽한 사람이라는 것은 당연한 것이기에 “당신은 멋있어”라는 칭찬은 지나가는 고양이를 보고 “저건 고양이야”라고 하는 것과 동일한 수준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절대 과장이 아니다.)

나르시시스트의 심리상태

이들의 심리상태를 측정한 연구들에 따르면 자신을 무시하거나 자신을 인정해 주지 않는 사람들에게 보이는 분노와 증오심을 제외하면 감정이 메마른 사람처럼 느껴지고, 일이 자신이 원하는 대로 흘러가지 않으면 남 탓을 하며 안절부절못한 모습을 보이며, 스트레스 대응기제가 없어 아주 사소한 스트레스도 견디지 못한다.

나르시시스트가 당신과 연관성이 전혀 없는 스트레스에서도 잠수를 타거나 회피하는 것은 이러한 대응기제의 부재에서 비롯되는 현상이다.

상상적 관중(imaginary audience)을 통해 자신을 증명하는 나르시시스트와 연애를 유지하려면 당신 또한 무한한 신뢰와 찬사를 보내는 관중이 되었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 문제는 그들은 자신을 바라보는 관중에게 관심과 사랑을 주는 것이 아닌 오히려 관심을 주지 않는 사람에게 더 매력을 느낀다는 사실이다.


그들과 연애의 결말

당신이 나르시시스트에게 찬사를 보낼 때, 이러한 찬사도 결국 자신의 공허한 자아를 채울 수 없다는 것을 느끼면 그들은 당신에게 등을 돌리고 자신의 성공을 위해 몰두하거나 자신의 친구 관계, 취미에만 빠진다. 그러다 자신에게 또 다른 찬사를 주는 이성에게 호감을 느끼며 바람을 피운다.

나르시시스트와 만나는 사람은 수 많은 상상적 관중(imaginary audience)들 중 하나일 뿐이다. 이러한 삶은 나르시시스트를 위한 삶이지 절대 자신을 위한, 함께하는 삶이 아니며 노력의 억울함과 매몰비용 때문에 헤어지지도 못하는 파괴적인 관계로 이어진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

  • 피해자 코스프레
    피해자 코스프레,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자아를 지키기 위해 그들은 타인을 직접적으로 비난하기 보다 자신을 피해자로 만든다. 연인, 배우자, 주변 사람들로 인해 자신이 피해(손해)를 보고 있다고 이야기하며 […]
  • 나르시시스트 연인, 배우자가 겪는 고통
    나르시시스트 연인, 배우자로서 겪는 심리적인 고통과 이별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대한 포스트 입니다. 나르시시즘은 심리학에서 개인이 과도하게 자신에게 집착하고, 타인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상태를 가리키는 […]
  • 나르시시스트 질투 유발과 벗어나기
    I. 나르시시스트(Narcissism)의 개념 이해 1. 나르시시스트(Narcissism)의 정의 나르시시스트(Narcissism)는 자신을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경향이 있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그들은 자신의 욕구와 감정만을 우선시하며, 타인의 감정이나 요구에 무관심하거나 […]
  • 나르시시스트와 이별한 당신에게: 상처에서 회복으로,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당신이 이 글을 읽고 있다면 아마 최근에 어떤 이별을 겪었을 수 있습니다. 아픈 이별이라면 더욱 마음이 무겁겠죠. 특히 이별의 상대가 나르시시스트라면 그 아픔은 더욱 깊을 […]
  • 잠수이별 심리 : ‘그들이 말 없이 이별하는 이유’
    잠수이별 심리: “그들은 왜 말 없이 사라지는 것일까?” 모든 이별이 힘든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잠수이별’은 고통스러울 뿐만 아니라 혼란스럽기까지 합니다. 갑작스러운 연락 차단, 사라져버린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acebook
Twitter
나만 아는 상담소 연애 칼럼
그 남자는 왜 나에게 집착할까

집착과 관련된 글은 항상 조회수가 높은걸 보면 집착하는 남자 때문에 고민하는 여성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하지만 실제 집착과 관련되서 시행된 연구는 학술지를 찾아봐도 몇

머리 스타일을 바꿨다고 이별 통보한 남자친구.

일전에 커뮤니티에서 본 사연이다. 여자친구는 기분을 전환하기 위해서, 이전부터 하고 싶었던 머리 스타일인 쇼트커트를 하게 되었는데, 남자친구가 그 모습을 보고 갑작스럽게 이별 통보를 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