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삼각형, 사랑을 정의하다.
미국의 뇌신경과학, 인지심리학자인 로버트 스턴버그(Robert J. Sternberg)는 지능에 관련한 연구를 하면서 자신의 지능연구를 사랑과 애정을 분석하는데 접목하여 이론을 만들었다. 사랑의 삼각형 이론, 사랑의 3요소라 불리우는 이 이론은 사랑을 구성하는데 있어 친밀감(Intimacy), 열정(Passion), 헌신(Commitment) 3가지에 의해 사랑의 유형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기존에 사랑을 연구하던 여러 학자들은 사랑을 병렬 방식으로 연구하였으나 스턴버그는 감정과 생각, 행동까지 포함한 다차원 구조로 분류 하였다. 위 3가지의 성향이 어느 측면으로 발현되는지에 따라 낭만, 도취, 우애, 공허, 얼빠진, 성숙, 좋아함으로 구분하였다.
사랑의 삼각형, 사랑의 7가지 형태
도취성 사랑
연인에게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순간으로 생리적인 흥분, 애착을 느끼는 대상과 계속 함께 있으려 하며 하나가 되려는 욕구를 가짐, 첫눈에 빠진다는 느낌, 순간 나타났다 곧 사라질 수 있으며 정신적, 육체적 흥분이 나타난다.

좋아함
사랑을 따듯하게 느끼고 포근함을 느끼는 감정

공허한 사랑
사랑하겠다는 결심을 나타내며 인지적 속성으로 나타난다. 사랑을 지속시킨다는 책임감을 가져온다. 누군가를 사랑하겠다는 결심에서 비롯되며 감정몰입이나 신체적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오래된 부부나 커플에게서 발견되는 사랑의 유형

낭만적 사랑
신체적, 감정적으로 서로에게 끌리고 있으나 헌신은 필수요소가 아니다. 지속적인 만남을 고려하기 보다 즉흥적인 면이 강하지만 다른 유형의 사랑으로 발전한다.

우애적 사랑
열정을 이끌어주던 신체적 매력이 감소하여 오래된 관계, 우정과 같은 형태의 결혼 생활에서 자주 나타나는 사랑의 유형, 낭만적 사랑이 시간이 지날 때 우애적 사랑으로 나타남

얼빠진 사랑
결혼 생활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으며 친밀감이 결여되어 있는 사랑, 몰입이 없지만 이전 열정에 근거하여 헌신이 나타나지만 이 헌신이 성숙된 헌신이 아닌 얕은 수준의 헌신으로 나타난다. 열정이 사라지며 관계에 실망한다.

성숙한사랑
3가지 요소를 모두 갖춘 사랑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사랑의 삼각형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친구, 연인, 배우자 관계에서 이를 토대로 서로의 감정의 균형을 확인하고 수정해야 할 방향을 제공 받을 수 있다는 점, 나의 사랑의 유형과 상대의 유형을 비교하여 서로가 어떠한 사고와 생각으로 상대를 대하는지 확인해 볼 수 있는 과정을 만들어갈 수 있다.
사랑의 삼각형 사랑의 3요소의 단점
사랑의 삼각형 이론, 사랑의 3요소는 사랑의 발달 단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평이 있지만 어떠한 관계에서 어떠한 시기에 일련의 과정을 거쳐 발달하는지에 대한 증명을 할 수 없다는 것을 단점으로 지적한다. 이후 스턴버그 이론을 계보로 하여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지만 사랑의 기간, 연인의 관계 지속시간이 사랑의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하지만 기간에 대한 명확성과 영향력에 대해선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연인과 사랑을 정의할 때 자신의 삶 속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사랑을 정의하고 과거의 경험에 의한 타인의 신뢰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
참고자료. 도서 사랑은 어떻게 시작하여 사라지는가, 저자 로버트 스턴버그, 역자 류소, 출판사 사군자, 출판일 200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