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결혼 반대 이유 부모님이 결혼을 반대할 때 많은 사람들이 부모를 ‘설득’하는 방법에 대해서 물어보지만 부모들이 결혼을 반대하는 이유를 안다면 그 설득이 어렵거나 때에 따라선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아버지가 결혼을 반대하는 이유와 어머니가 결혼을 반대하는 이유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그 대상이 아들인지 딸인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물론 부모가 자녀를 나쁘게 되라는 의미에서 반대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사회적 경험이 지금 결혼 하려는 배우자가 좋지 않다고 판단하도록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부모의 경험이라는 아주 작은 시각에서 비롯된 것이기에 완전하다고 볼 수 없다. 가난해도 노력하여 성공하며, 부유해도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

나의 꿈을 네가 이루어라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이루지 못한 미해결 과제를 위해 노력한다. 이는 해결이 될 때 까지 평생에 걸쳐 나타나게 되는데, 부모의 미해결 과제는 자녀에게 투사되어 자신이 이루지 못한 꿈을 자녀가 이루길 원하는 마음으로 나타난다. 열등감이 심할 수록 자녀에게 강요하는 정도가 큰데, 의사가 되고 싶은 꿈이 있었지만 경제적으로 부족했거나 성적이 부족했을 때 자녀에게 “다 지원해 주는데 왜 못하냐!”하며 화를 내거나 학업을 강요한다. 부모 결혼 반대 이유는 부모가 배우자에게 불만이 있고 소외감을 느낄 때, 자녀에게 의존이 높은 부모 결혼 반대 가 많이 나타난다.
- 어머니가 아들의 결혼을 반대
어머니가 아들에게 의존적일 때 결혼을 반대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흔히 마마보이라 불리우는 과도한 아들과 엄마의 과도한 유착관계는 아들을 영원히 자신의 아들로 남아있길 바라는 심리가 있기 때문에 쉽게 소거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아들의 여자친구를 자신의 아들을 빼앗아가는 대상으로 인식하며, 아들을 자신이 원하는 이상형으로 길러왔기 때문에 그 수준에 맞는 여자를 만나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아들의 배우자로 자신의 열등감을 채우고 며느리와 동일시를 하여 대리만족을 느끼려 하기 때문에 며느리에 기준이 매우 높다.
그 남자는 왜 마마보이가 되었을까? : 마마보이가 되는 과정과 특징
- 어머니가 딸의 결혼을 반대
어머니가 딸의 결혼을 반대하는 이유는 2종류로 나뉘는데 형제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다르다. 형제가 없는 경우 딸을 공주화 시키는 경향이 발생하는데 이는 딸이 자신이 이루지 못한 직업, 외모를 갖추도록 하여 자신의 이상형을 딸이 대신해서 만나주길 바라는 심리가 작용한다. 만약 자신이 어떠한 기준을 갖추고 있었더라면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형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열등감에 의한 것으로 학업에 대한 열등감은 딸의 학력에 집착하게 만들고 외모에 대한 열등감은 딸에게 외모를 가꾸는데 집착한다. 완전하게 자신의 이상으로 만들어 둔 딸에게 맞는 남자를 찾는 것은 쉽지 않으며 주로 남편의 영향을 받는다. 남편이 가졌으면 하는 종교가 있다면 해당 종교의 사위를 남편이 경제적으로 무능력 하다면 사위의 경제력을, 직업적 열등감이 있다면 전문직 종사자의 사위를 원한다.
형제가 있을 경우 딸이 공주가 되기 보다 희생양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어머니가 딸에게 경제적, 심리적으로 의존되어 있을 땐 결혼을 하지 못하게 막으려 들며 이는 딸이 남자친구가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갑자기 늦은 시각에 들어오지 않을 때 평소와 다르게 집에 언제 들어오는지 통금에 대한 언급이나 집착하기 시작한다. 이 때 남자가 경제적으로 풍족한 경우 자신 또한 의탁할 수 있기에 쉽게 수용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절대 결혼을 반대한다.

- 아버지가 아들의 결혼을 반대
아버지가 아들의 결혼은 반대할 땐 미리 기준을 잡아두고 그를 충족하지 않는다면 허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주로 아내에 대한 불만을 며느리에게 투사하는데 아내가 경제적으로 부족했다면 좋은 직장에 커리어가 있는 여성을 원하며, 반대로 집안일에 소홀할 경우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집안일만 하는 며느리를 원한다. 이는 자신의 경험에 대한 불만을 며느리에게 나타내는 것으로 자신이 가진 불만과 동일한 맥락을 가질 경우 결혼을 반대한다.
- 아버지가 딸의 결혼을 반대
자주 나타나는 경향은 없지만 딸에게 과도한 애착을 가지고 있을 때, 어머니가 아들의 결혼을 반대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자신의 딸이 완전한 여자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자신이 이루지 못한 직업군이나 경제력을 갖춘 사람을 사위로 맞이하길 원한다. 즉, 사위와 동일시 하여 자신의 만족을 채우는 것으로 이러한 아버지의 경우 딸에 대한 인식이 소유물로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에 자신이 생각한 이상적인 남자가 아니라면 딸의 결혼을 반대한다.

부모 결혼 반대 , 어떻게 설득하면 될까?
부모 결혼 반대 이유와 심리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과거의 일들을 회상하며 부모의 행동에 배신감을 느끼고 분노하기도 한다. 하지만 중요한 건 앞으로 누구와 더 오랜 삶을 살아갈 것이고, 내가 이 사람과 남은 인생을 보내며 행복할 수 있다고 판단했을 때, 그리고 결혼 이후 이루고 싶은 꿈들을 같이 이룰 수 있다고 할 때 중요한 게 부모의 허락인지 나의 삶인지 고민해 볼 수 있어야 한다. 이들을 설득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와의 관계가 끊어질 각오”를 하지 못할 경우엔 시위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음으로 연인과 함께 미래 계획을 구상하여 부모님의 자아실현이 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없음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설득’은 어른으로, 경험으로 라는 말들로 이길 수 없는 말 싸움에 결국 휘말려 더 스트레스가 된다.

사람은 누구나 미해결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갖지만 그게 타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만약 부모의 지원 없이 결혼을 할 수 없다면, 결혼 자체에 대한 생각을 미뤄야 한다. 부모의 지원을 포기하기엔 그 폭이 너무 클 수 있지만 그 지원을 포기하지 못한 대가는 내가 원하는 사람과 여생을 살 수 없다는 개인의 행복 추구권을 박탈 당한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