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르시시스트와 그들의 언어: 세부적인 관점
나르시시스트는 그들 자신의 세상에서만 타인을 바라보는 사람들로 이들은 상호 의존적인 관계보다는 자신의 욕구와 요구가 먼저 충족되어야 한다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또한, 이들은 자신의 업적이나 능력을 과시하며 높은 존중과 찬사를 받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나르시시스트의 언어 습관과 대화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들은 상대방을 조종하거나, 문제나 실수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거나, 자신을 중심에 두는 말을 사용합니다.
이는 나르시시스트가 항상 자신이 주목받아야 하며, 상황을 통제하고, 실수나 문제를 자신에게 돌리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나르시시스트가 흔히 사용하는 몇 가지 유형의 말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러한 말은 개인의 성격, 환경, 경험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나르시시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러한 말들을 지속적으로 듣고, 그런 말을 하는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부정적인 감정이나 문제가 생긴다면, 그 사람과의 관계를 재평가해 보는 것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인지하고 이해하는 것은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건강한 경계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이를 통해 나르시시스트의 언어 패턴과 행동을 보다 잘 이해하고, 그들이 어떻게 상대방을 조종하거나 책임을 회피하려고 하는지 알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자신의 건강과 행복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 “너는 내가 없이는 아무것도 못해”: 무력감 유발과 조종

나르시시스트는 종종 “너는 내가 없이는 아무것도 못해”와 같은 말을 통해 상대방에게 자신에 대한 의존성을 강요하곤 합니다. 이런 말은 대상의 자존감과 독립성에 타격을 주며, 그들이 나르시시스트에게 더 의존하도록 만드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의 말은 대상에게 나르시시스트 없이는 생활이나 일이 불가능하다는 불안감을 유발합니다. 이 불안감은 자신감을 약화시키며, 그들이 자신의 능력에 의심을 가지도록 만듭니다. 이로 인해 대상은 자신의 판단력을 믿지 못하게 되고, 결국 나르시시스트에게 의존하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나르시시스트는 대상을 통제하고, 그들의 행동을 조종하는 데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나르시시스트는 이러한 조종을 통해 자신의 요구와 욕구를 충족시키고, 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대상을 움직이게 만듭니다.
따라서, “너는 내가 없이는 아무것도 못해”와 같은 말을 들었을 때, 그것이 조종의 일환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나르시시스트의 행동을 이해하고, 건강한 경계를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능력과 가치를 알고,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말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내 말을 듣지 않으면 후회할 거야”: 공포 활용

나르시시스트는 “내 말을 듣지 않으면 후회할 거야”와 같은 경고를 통해 공포나 불안감을 유발하고 상대방을 조종하려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말은 상대방에게 나르시시스트의 의견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을 경우에 불행하거나 불리한 결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불안감을 심어주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나르시시스트는 이러한 공포를 이용해 상대방의 결정과 행동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그들은 상대방을 자신의 통제 아래에 두고 상황을 조종하려고 시도합니다. 이는 나르시시스트가 자신의 요구와 욕구를 충족시키고 상황을 자신의 유리하게 조절하려는 시도의 일부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나르시시스트의 말에 공포나 불안감을 느꼈을 때, 그것이 조종의 한 수단일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판단과 선택에 대한 믿음을 유지하고, 공포나 불안감에 휘둘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나르시시스트의 언어 패턴과 행동을 이해하고, 건강한 경계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4. “나는 너보다 더 많이 알고 있어”: 우월감 과시

나르시시스트는 종종 “나는 너보다 더 많이 알고 있어”와 같은 말을 통해 자신의 지식이나 능력을 과대평가하거나 과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식의 말은 나르시시스트가 자신을 상대방보다 우월하다고 여기며, 그들의 의견이나 지식을 무시하려는 의도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런 말은 나르시시스트가 상대방을 비하하고, 그들 자신의 우월감과 자아 존중감을 강화하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그들은 이런 말을 통해 자신의 지위를 과시하고, 상대방의 의견이나 능력을 무시하거나 무시하려는 시도를 합니다.
따라서, 이런 말을 들었을 때는, 그것이 나르시시스트의 자아 부풀리기 전략의 일부일 수 있음을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르시시스트의 말을 인지하되, 자신의 의견이나 능력을 과소평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자신의 지식과 능력에 대한 믿음을 유지하고, 다른 사람의 말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그것은 네 잘못이야”: 책임 회피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실수나 문제를 인정하는 대신 “그것은 네 잘못이야”와 같은 말로 상대방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언어 패턴은 그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를 드러냅니다.
이런 식으로,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완벽한 이미지를 지키고, 다른 사람이 그들의 실수나 문제에 대해 비난하거나 실망하는 것을 피하려고 시도합니다. 그들은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면서, 상대방에게 문제의 원인이나 결과에 대한 책임을 떠넘기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런 말을 들었을 때, 나르시시스트가 책임을 회피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비난이나 탓에 휘둘리지 않고, 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적절한 책임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나르시시스트의 책임 회피 전략을 대응하고, 자신의 경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6. “네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아”: 의견 무시

나르시시스트는 종종 “네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아”라는 말을 통해 상대방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무시하려고 합니다. 이런 말은 그들이 자신의 입장이나 의견을 중요하게 여기며, 동시에 상대방의 의견이나 입장을 무시하거나 무효화하려는 의도를 드러냅니다.
이런 방식으로, 나르시시스트는 상대방이 그들의 의견이나 요구에 반대하거나 이견을 제시할 때, 그런 의견을 무시하거나 무효화하는데 이용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그들은 상대방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거나, 자신에게 반대하는 것을 억제하려고 시도합니다.
따라서, 이런 말을 들었을 때는, 그것이 나르시시스트가 자신의 의견을 강요하거나 상대방의 의견을 무시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의견이나 입장을 존중하고, 그들의 말에 휘둘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나르시시스트의 의견 무시 전략에 대응하고, 자신의 입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나르시시스트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경각심

나르시시스트와의 상호작용은 힘들고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들의 언어 패턴은 그들이 상대방을 통제하려고 시도하거나,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려고 하거나, 자신을 중심에 두려는 경향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종종 상대방을 불편하게 하거나 상대방의 자존감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나르시시스트의 말과 행동에 대해 알아보고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그들의 조종이나 조작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나르시시스트와의 상호작용에는 많은 주의가 필요하며, 자신의 정서적 안녕을 유지하려면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는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지만, 우리 자신의 가치를 인지하고, 경계를 설정하고, 필요한 도움을 받음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관계를 통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습니다.
By. 나만 아는 상담소
참고자료
- Campbell, W. Keith; Miller, Joshua D. (2011). The Handbook of Narcissism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Hoboken, NJ, USA: John Wiley & Sons, Inc. doi:10.1002/9781118093108.
- Twenge, J.M., & Campbell, W.K. (2009). The Narcissism Epidemic: Living in the Age of Entitlement. Free Press.
- Malkin, Craig. (2015). Rethinking Narcissism: The Bad—And Surprising Good—About Feeling Special. Harper Perennial.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
- 회피형 고치는법, 회피형에 대한 이해와 해결 방법회피형 고치는법 사랑하는 사람의 회피형 성격은 종종 우리의 관계에서 미묘한 긴장과 혼란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성격은 불안정한 자아 이미지, 깊은 불안감, 그리고 자주 변하는 감정 상태를 반영합니다. 이런 성격을 지닌 사람들은… Read more: 회피형 고치는법, 회피형에 대한 이해와 해결 방법
- 탈 나르시시즘: 자신을 되찾는 연애 심리 여정관계의 첫 장은 동화처럼 시작되곤 합니다. 둘만의 세계에 흠뻑 빠져, 그의 모든 말 한마디, 만남마다 피어나는 마법 같은 데이트의 추억들. 이 꿈같은 순간들 속에서, 모든 것이 완벽할 거라는 기대를 품게… Read more: 탈 나르시시즘: 자신을 되찾는 연애 심리 여정
- 허영의 벽을 넘어: 나르시시즘과 건강한 자존감 사이나르시시즘은 흔히 자기애, 과도한 자기중심성 및 타인에 대한 무관심의 특징으로 간주되는 심리적 경향입니다. 이 개념은 그리스 신화 속 인물 나르키소스에서 유래했는데, 그는 자신의 모습에 반해 자신만을 사랑하는 인물로 묘사됩니다. 현대… Read more: 허영의 벽을 넘어: 나르시시즘과 건강한 자존감 사이
- 나르시시스트 연애 초기: 간접적 설득 단계나르시시스트 연애 초기 이상화 단계가 지난 후 간접적인 설득으로 조종을 시작합니다. 이들의 첫 번째 방법 중 하나는 칭찬하기입니다. 이 과정은 상대방의 존경과 사랑을 얻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통해 나르시시스트는 파트너가… Read more: 나르시시스트 연애 초기: 간접적 설득 단계
- 나르시시스트 이별 패턴: 상대의 애정을 경멸하다.나르시시스트 이별 패턴: 상대의 애정을 경멸하다. 이별은 그 자체로 굉장히 복잡하고 아픈 경험입니다. 특히, 상대가 나르시시스트일 경우 그 복잡성과 아픔은 더욱 심화됩니다.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는 종종 애정과 경멸, 끌림과 밀어내기의 빠르고… Read more: 나르시시스트 이별 패턴: 상대의 애정을 경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