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검사

연애 상담에서 심리검사를 진행하는 이유

사연만 가지고, 그를 토대로 상담을 진행하면 객관적인 소명자료가 없어 내담자의 주관적인 해석과 상담사의 역전이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연은 참고가 될 수 있고 그 내용에 대해 잘못 된 점을 비난할 수 있어도 행동 자체의 원인을 파악할 순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과하고 많은 연애 상담소는 상담 사연 하나만 가지고 이야기를 하는 것 뿐만 아닌 개인적인 심리적 요인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연애 상담은 연애 중 나타나는 행동의 문제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심리상담과 동일하게 한 개인의 애착문제와 큰 연관이 있음으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내담자가 앞으로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것 입니다. 검사의 시간과 해석 시간이 소요되는 노력이 필요함에도 이러한 과정을 유지하는 것은 진정으로 내담자를 돕기 위한 하나의 철학 입니다. 심리검사 유무에 따라서 비용이 추가되거나 감소하지 않습니다.

심리검사 종류

연애 유형검사(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

파트너에 대해 어떠한 요인을 중시하고 있는지 행동에 있어 나타나는 불일치 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한다. 개방형 검사가 아닌 리커트 척도 검사로 질문에 따라 자신의 감정을 작성한다. 성인애착 유형검사의 신뢰도를 올리기 위해 함께 시행하며 애착유형과 연관성을 찾아 연인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역기능적 행동을 중단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공하여 준다.

작성시간 약 10분

문장 완성검사(Sentence Completion Test)

자유 연상법 연구에 의해 개발된 검사로 투사 검사의 일종이다. 문장 완성검사(SCT)는 내담자가 가진 주관적인 생각을 앞선 문장에 맞춰 진행하는 방식으로 다른 투사검사인 로샤, 주체 통각 검사와 다르게 문장을 제공함으로 내담자가 평소에 자신이 생각하는 신념과 질문의 대상에 대한 평가를 표현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투사 검사에 비해 명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으며 연인(배우자), 가족, 자신에 대한 평가와 신념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검사 소요시간 약 15~20분

성인애착 유형검사(StaTte Adult Attachment Measure)

존 보울 비 (Johm Bowlby)의 애착이론을 계보로 발전한 애착 이론은 성인이 되어 나타나는 애정관계와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밝혀내었다. 과거 애착 문제는 성인의 애착문제와 대응되는 것을 알게됨으로 이러한 애착검사를 성인의 버전으로 다시 만들게 된다. 애착 유형을 파악함으로 어떠한 사람들에게 이끌리는지 파악하고 나의 성향에 맞춰 상대를 다루거나 다가서는 방법에 대해 찾아볼 수 있다. 과거 애착 유형을 파악하고 그러한 애착이 형성된 이유를 찾아 타인의 부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거나 의존적인 성향이 아닌 스스로 독립적인 사람이 될 수 있는 방향을 구상할 수 있다.

성인애착 유형 검사의 타당도 검증 논문

검사 소요시간 약 1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