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

Table of Contents

[fusion_builder_container hundred_percent=”no” hundred_percent_height=”no” hundred_percent_height_scroll=”no” hundred_percent_height_center_content=”yes” equal_height_columns=”no” menu_anchor=””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status=”published” publish_date=”” class=”” id=””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position=”center center” background_repeat=”no-repeat” fade=”no” background_parallax=”none” enable_mobile=”no” parallax_speed=”0.3″ video_mp4=”” video_webm=”” video_ogv=”” video_url=”” video_aspect_ratio=”16:9″ video_loop=”yes” video_mute=”yes” video_preview_image=”” border_size=””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margin_top=”” margin_bottom=”” padding_top=”30″ padding_right=”30″ padding_bottom=”30″ padding_left=”30″][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lumn type=”1_1″ layout=”1_1″ spacing=”” center_content=”no” link=”” target=”_self” min_height=””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position=”left top” undefined=”” background_repeat=”no-repeat” hover_type=”none” border_size=”0″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border_position=”all” padding_top=”” padding_right=”” padding_bottom=”” padding_left=”” margin_top=”” margin_bottom=”” animation_type=”fade” animation_direction=”down” animation_speed=”0.8″ animation_offset=”” last=”no”][fusion_text columns=”” column_min_width=”” column_spacing=”” rule_style=”default” rule_size=”” rule_color=””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대상관계이론

[/fusion_text][fusion_separator style_type=”single solid”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sep_color=”” top_margin=”” bottom_margin=”” border_size=”” icon=”” icon_circle=”” icon_circle_color=”” width=”” alignment=”center” /][/fusion_builder_column][/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ntainer][fusion_builder_container hundred_percent=”no” hundred_percent_height=”no” hundred_percent_height_scroll=”no” hundred_percent_height_center_content=”yes” equal_height_columns=”yes” menu_anchor=””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status=”published” publish_date=”” class=”” id=””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position=”center center” background_repeat=”no-repeat” fade=”no” background_parallax=”none” enable_mobile=”no” parallax_speed=”0.3″ video_mp4=”” video_webm=”” video_ogv=”” video_url=”” video_aspect_ratio=”16:9″ video_loop=”yes” video_mute=”yes” video_preview_image=”” border_size=””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margin_top=”” margin_bottom=”” padding_top=”30″ padding_right=”30″ padding_bottom=”30″ padding_left=”30″][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lumn type=”1_3″ layout=”1_3″ spacing=”” center_content=”yes” link=”” target=”_self” min_height=””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position=”left top” undefined=”” background_repeat=”no-repeat” hover_type=”none” border_size=”0″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border_position=”all” padding_top=”” padding_right=”” padding_bottom=”” padding_left=”” margin_top=”” margin_bottom=””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left” animation_speed=”0.3″ animation_offset=”” last=”no”][fusion_title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content_align=”left” size=”1″ font_size=”” line_height=”” letter_spacing=”” margin_top=”” margin_bottom=”” text_color=”” style_type=”none” sep_color=””]

대상관계이론 이란?

[/fusion_title][fusion_imageframe image_id=”14122″ max_width=”” style_type=”” blur=”” stylecolor=”” hover_type=”none” bordersize=”” bordercolor=”” borderradius=”” align=”none” lightbox=”no” gallery_id=”” lightbox_image=”” alt=”” link=”” linktarget=”_self”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animation_type=”fade” animation_direction=”left” animation_speed=”0.9″ animation_offset=””]https://naaso.net/wp-content/uploads/2018/10/473px-Melanie_Klein_1950s.jpg[/fusion_imageframe][/fusion_builder_column][fusion_builder_column type=”2_3″ layout=”2_3″ spacing=”” center_content=”yes” link=”” target=”_self” min_height=””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position=”left top” undefined=”” background_repeat=”no-repeat” hover_type=”none” border_size=”0″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border_position=”all” padding_top=”” padding_right=”” padding_bottom=”” padding_left=”” margin_top=”” margin_bottom=”” animation_type=”fade” animation_direction=”right” animation_speed=”0.9″ animation_offset=”” last=”no”][fusion_text columns=”” column_min_width=”” column_spacing=”” rule_style=”default” rule_size=”” rule_color=””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class=”” id=””]

인간은 태어나면서 대상을 추구하는 존재이며 인간에 타인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창조하는 본능을 지니고 있다 [Melanie Klein]

대상관계이론은 정신분석학의 심리적 결정론을 근거로 멜라니 클라인 [Melanie Klein]의 연구를 통해 창설한 이론입니다. 한 사람의 기질적인 특성(유전적 특성)을 설명하기엔 부족함이 있지만 우리는 항상 타인을 추구하고 타인과의 좋은 관계를 추구합니다. 어떤 사람이 역기능 행동(문제행동)을 하게 되었을 때 그를 비난하는 것이 아닌 그 사람이 원하고자 하는 행동을 요구하고자 할 때 그 표현방법에 대한 부재로서 나타나는 행동입니다. 즉 잘 되고자 하는 마음에 비롯된 것으로 잘못을 비난하지 말고 올바른 표현방법을 알려주게 되었을 시 그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고 그 문제행동에 들어간 에너지를 다른 삶에 활용하면서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이끌어가는 것입니다.

나만 아는 상담소는 한 가지 이론에 국한되어 상담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대상관계이론에 입각해 과거의 정서형성이 성인이 되어 애착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는 시각은 가지고 있으면서도 각 분야의 상담이론에 있어 부모의 영향을 중시하는 심리 결정론, 한 사람의 개인의 경험에 의한 시각 변화를 바꾸는 인지행동적 관점, 가족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가족의 구조적 관점, 인간은 기회만 제공된다면 누구나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을 한다는 인본주의적 관점의 입장까지 다양한 이론을 종합하여 한 개인의 연애와 결혼생활 대인관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합니다.

[/fusion_text][/fusion_builder_column][/fusion_builder_row][/fusion_builder_container]

Facebook
Twitter
나만 아는 상담소 연애 칼럼
Q. 저는 대학생이고 남자친구는 직장인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생이고 남자친구는 직장인입니다. 남자친구가 올해초에 졸업하고 바로 취업해서 장거리 연애를 하고있어요. 작년5월부터 사귀고 장거리를한지는 3개월정도 됐습니다. 사귀고 초기에도 답이 금방오거나 전화가 잘되지않는 스타일

공포 회피형 애착 (Fearful-Avoidant Attachment) 원인, 특징, 거부 회피와 비교, 해결 방안을 제시
공포 회피형 애착 (Fearful-Avoidant Attachment)

애착 유형은 우리가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 중 공포-회피형 애착은 상대방과의 깊이 있는 관계를 회피하며 동시에 가까워지는 것을 원하는 복잡한